교육

시드니 대학 연구팀, 단일 원자로 양자 코드 해독 성공

시드니 대학교 나노 과학 기술 연구소의 양자 제어 연구실 과학자들이 단일 원자에 숨겨진 양자 코드를 해독하여, 양자 컴퓨터 개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양자 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에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양자 논리 게이트를 세계 최초로 시연한 것입니다.

양자 컴퓨터의 난제: 큐비트 오류와 확장성

대규모 양자 컴퓨터를 구축하기 위해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이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는 큐비트가 작동 중에 만들어내는 자발적인 오류 문제입니다. 현재 기술로는 유용한 결과물을 생성하는 소수의 ‘논리적 큐비트’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수많은 ‘물리적 큐비트’를 오류 억제용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유용한 논리적 큐비트의 수가 증가할수록 필요한 물리적 큐비트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이러한 확장성 문제는 실용적인 양자 컴퓨터 제작에 있어 거대한 공학적 악몽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양자 컴퓨팅의 ‘로제타석’, GKP 코드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수년간 이론적으로만 제시되어 온 것이 바로 ‘고테스만-키타예프-프레스킬(Gottesman-Kitaev-Preskill, GKP)’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양자 컴퓨팅의 ‘로제타석’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연속적인 양자 진동을 깔끔한 디지털과 유사한 이산 상태로 변환해주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오류를 더 쉽게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논리적 큐비트를 매우 압축적으로 인코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GKP 코드는 효율성을 얻는 대신 복잡성이 매우 높아, 이를 제어하고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극도로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었습니다.

단일 원자의 조화 진동을 이용한 최초의 실험 성공

시드니 대학교 나노 과학 기술 연구소의 시드니 호라이즌 펠로우인 팅레이 탄(Tingrei Tan)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 GKP 코드의 복잡성을 극복하고 이를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8월 21일,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피직스(Nature Physics)’에 게재되었습니다.

연구팀은 ‘폴 트랩’이라는 레이저 기반 장치를 이용해 단일 이터븀(ytterbium) 이온(전하를 띤 원자)을 포획한 후, 이온의 자연적인 조화 진동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GKP 코드를 저장하고, 사상 최초로 이들 사이에 양자 얽힘 게이트를 구현했습니다.

탄 박사는 “우리의 실험은 GKP 큐비트를 위한 보편적 논리 게이트 세트를 최초로 구현했음을 보여주었다”며, “포획된 이온의 자연적인 진동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개별 GKP 큐비트를 조작하거나 두 개를 얽히게 만들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수십 년간 이론으로만 논의되던 GKP 코드가 실험실에서 실제로 작동할 수 있음을 증명한 첫 사례입니다. 이는 단일 원자만을 사용하여 복잡한 양자 논리 게이트를 구동함으로써, 막대한 양의 물리적 큐비트가 필요했던 기존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어 양자 컴퓨터 기술의 실용화를 앞당기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산업

Interpump, 실적 발표 후 강세 지속… 긍정적 평가 쏟아져

예상 웃도는 실적에 주가 급등

이탈리아의 고압 펌프 제조업체인 Interpump Group이 시장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한 이후, 주가가 전날에 이어 또다시 급등했다. 8월 14일 오후 기준 Interpump 주가는 전일 대비 6.82% 상승하며, 2025년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실적 발표는 향후 전망(guidance)을 유지한 가운데, 다수의 증권사로부터 긍정적인 평가와 목표주가 상향 조정을 이끌어냈다.

Water Jetting 부문, 중국 수주로 성장 주도

Intermonte 증권사의 애널리스트들은 Interpump가 Water Jetting 부문에서 유기적 성장률 19%를 기록하며 실적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으로부터의 대형 주문이 실적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Intermonte는 Interpump의 목표주가를 기존 43유로에서 44.5유로로 상향 조정하며, ‘시장수익률 초과(outperform)’ 의견을 유지했다. 또한 Hydraulic 부문과 전체 그룹 수익도 예상보다 개선됐으며, 6분기 만에 첫 유기적 성장 전환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2025년 실적 전망 유지, 상단 달성 가능성 제기

Interpump는 올해 연간 실적 전망을 그대로 유지했다. Intermonte는 이에 대해 “7월 실적 흐름이 이전 달들과 비슷한 양호한 수준을 이어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연간 수익과 이익률 가이던스 상단 달성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Equita와 UBS도 목표가 상향… 신중한 태도 유지

Equita 애널리스트들도 Interpump에 대한 목표주가를 주당 43유로로 상향 조정하며 ‘보유(Hold)’ 의견을 재확인했다. 이들은 “2026년 추정치와 약간 더 높은 밸류에이션 적용(기존 19배에서 20배 적용)을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다만, “특히 미국에서의 경기 회복 흐름이 아직 불확실하므로, 현재 시점에서는 보다 낙관적인 전망으로 전환하기는 이르다”고 덧붙였다.

한편, UBS는 Interpump의 목표주가를 39.5유로로 상향 조정했다.

단기 주가 상승세 지속… 투자자 관심 고조

Interpump는 8월 14일 시장 마감 후 발표된 반기 실적 덕분에 5.96% 상승 마감하며 뛰어난 주가 흐름을 보였다. 주간 기준으로도 FTSE MIB 지수보다 더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해당 산업군으로 더욱 집중되고 있다.

향후 주가 전망… 상방 여력 충분

현재 Interpump 주가는 단기적으로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단기 목표가는 40.09유로로 설정되어 있으며, 일시적인 조정이 발생할 경우에는 38.41유로 선에서 지지선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전반적인 기대는 주가가 최고치인 41.77유로까지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실시간 시세 요약

종목명 최종 거래가 변동률 시간 당일 저가 당일 고가 시가
Interpump Group 39.54유로 +6.18% 14:08:08 37.98유로 39.84유로 38.98유로

Interpump는 실적과 전망 모두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며, 다양한 투자기관의 신뢰를 바탕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